기타/IT 지식
[IT 지식] 등차수열
햄습햄
2021. 10. 30. 23:34
등차수열의 합
n (a + l) / 2
- n: 개수
=> 1 + ((큰 수 - 작은 수) / 공차 )
=> 1 + 2 + 3...처럼 순서대로 더하는 경우, 공차 = 1
=> 큰 수 - 작은 수 + 1
- a: 첫 번째 값
- l: 마지막 값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부터 4까지의 합
- 개수: 3 (2, 3, 4)
- 첫 번째 값: 2
- 마지막 값: 4
3 (2 + 4) / 2 = 9
2 + 3 + 4 = 9
n {2a + (n - 1) d} / 2
- n: 개수
- a: 첫 번째 값
- d: 공차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부터 4까지의 합
- 개수: 3 (2, 3, 4)
- 첫 번째 값: 2
- 공차: 1
3 {2*2 + (3 - 1) 1} / 2
=> 3 (4 + 2) / 2 = 9
2 + 3 + 4 = 9
참고: 위키백과
등차수열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수학에서, 등차수열(等差數列, 문화어: 같은차수렬, 영어: arithmetic progression, AP 또는 arithmetic sequence)은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모두 일정한 수열을 뜻한다. 예를 들어 1, 3, 5, 7, 9, ...은 등차수열
ko.wikipedia.org
참고:
https://bhsmath.tistory.com/17
[기본개념] 등차수열의 합
등차수열의 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 등차수열의 단원에서는 교과서에 크게 일반항, 중항, 합 이렇게 세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. 그 순서대로 머릿속에 암기를 해 놓고 그것을 사용할 수
bhsmath.tistory.com